이번 정부는 부동산에서 만큼은 계속 헛발질을 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2.4 대책까지 총 25번의 대책을 내놨음에도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올라간다.
7년간 이어지고 있는 부동산 상승. 아무거나 사도 다오르는 시기에 살고 있다.
정부의 헛발질은 덤이다.
기존 30대 후반 40대는 영끌을 하던, 지난 7년간 구축을 샀었거나, 갭투, 청약 등 최소한 기회라도 있었으나 새로 결혼해서 집을 구하는 세대들은 어나더레벨로 가버린 집값은 진즉 포기했고 전세라도 구해야되는데, 이젠 전월세 갱신 청구와 신규아파트 전월세 금지로 영향으로 전세값 역시 어나더레벨로 가고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찍 태어난게 복 받은거다.
제가 결혼할 때, 광교 30평 전세가 1.5억, 목동 20평 전세가 2억이었다. 대기업 맞벌이라면 사회 진입해서 모은돈과 부족한 부분은 전세대출 받으면 집은 구할 수 있었는데 (물론 그때도 미친 전세값이라고 했다)
일단 주력 종목인 제습기, 공기청정기는 소모성 제품이 아니라 한번사면 최소 5 ~ 7년은 사용한다고 봐야한다.
혼자 자취하던 시절 반지하방 특유의 눅눅함을 제거하기 위해 구매한 위닉스 제습기를 10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물론 요즈음 나온 제품 디자인이 좋긴하지만 사용상 하등의 문제가 없다. 공기청정기 역시 6년 전 구매한 제품에서 필터만 바꿔주고 있고 교체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즉, 미국산불로 인해 증가하는 공기청정기의 관심과 판매량은 일시적인 이벤트성 매출로 봤다.
구글트렌드 - Winix in USA
Winix에 대한 관심도는 9월에 폭증하다가 연말까지는 어느정도 관심도가 유지되었지만 21년 부터는 활실히 줄어드는 추세다.
밸류 또한 부담되었다. 위닉스 과거 밸류를 봤을 때, 2019년 1분기에 가장 좋은 밸류를 받았다.
PER 약 20, PBR 약 3.5정도, 하지만 당시 ROE는 25% 이상이었고 거기다가 정부에서 전국학교에 공기청정기를 지원하겠다는 이슈도 있었다. 물론 PBR 벤드가 우상향하면 성장주로 봐야하는 경향이 있으나, 4분기 실적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19년 1분기 밸류는 넘을 수 없을 거라고 봤다.
아마 추가로 더 상승한다면 3만원까지 내다볼 수 있겠으나 어차피 장기로 가져갈 종목은 아니었기에 미련없이 매도했다.